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해양 CCS 수송을 위한 CO2 중간저장시설의 위해도 분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현정-
dc.contributor.author강관구-
dc.contributor.author허철-
dc.date.accessioned2021-12-08T11:41:03Z-
dc.date.available2021-12-08T11:41:03Z-
dc.date.issued20170525-
dc.identifier.uri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3461-
dc.description.abstract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여겨지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로 최근에 크게 주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서 100만톤급 해양 CCS 사업이 다부처 사업으로추진 중에 있다. 해양 CCS 추진시, 연안에 있는 화력발전소가 포집원으로, 동해 울릉분지 서남쪽 대륙붕이 저장소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수송방법으로는 CO2 수송선, CO2 중간저장시설, CO2 해저파이프라인의 순서로 수송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CO2 중간저장시설은 전세계적으로 운영이 되지 않은 시설로 관련 신뢰성 및 위험도 분석 연구결과가 매우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2 중간저장시설 중에서 CO2 하역설비(Unloading arm) 및 CO2 중간저장탱크를 대상으로 위해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위해도 분석 수행방법으로는 PHA(Preliminary Hazard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역설비는 7개의 요소로, 중간저장탱크는 8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각 요소 별로 잠재적 위험 상황(Potential hazard condition)들을 도출하였고, 또한 각 조건별로 영향(Effect), 예방 & 대응 방안(Preventive & Control Measures) 등을 도출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title해양 CCS 수송을 위한 CO2 중간저장시설의 위해도 분석-
dc.title.alternativeHazard Identification of CO2 Temporary Storage Infra for Offshore CCS Transport-
dc.typeConference-
dc.citation.title2017년 한국신뢰성학회 춘계학술대회-
dc.citation.volume1-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406-
dc.citation.endPage411-
dc.citation.conferenceName2017년 한국신뢰성학회 춘계학술대회-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2. Conference Paper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oh, Hyonjeong photo

Noh, Hyonjeong
친환경해양개발연구본부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