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NS 유출사고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생물독성 영향평가: HNO₃ 유출사고 대상Marine Ecotoxicological Evaluation on HNS Spill Accident : Nitric Acid Spill Case Study
- Other Titles
 - Marine Ecotoxicological Evaluation on HNS Spill Accident : Nitric Acid Spill Case Study
 
- Authors
 - 김태원; 김영윤; 조소은; 손민호; 이문진; 오상우
 
- Issue Date
 - 2015
 
- Publisher
 - 해양환경안전학회
 
- Keywords
 - HNS; Nitric acid; Nitrate; Toxicity test; LC50; EC50; Marine organism; 위험·유해물질; 질산; 질산염; 독성시험; 반수치사농도; 반수영향농도; 해양생물
 
- Citation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21, no.6, pp 655 - 661
 
- Pages
 - 7
 
- Journal Title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Volume
 - 21
 
- Number
 - 6
 
- Start Page
 - 655
 
- End Page
 - 661
 
- URI
 - https://www.kriso.re.kr/sciwatch/handle/2021.sw.kriso/814
 
- DOI
 - 10.7837/kosomes.2015.21.6.655
 
- ISSN
 - 1229-3431
2287-3341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HNS 중 하나인 질산(HNO3)의 유출사고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1) 식물플랑크톤(Skeletonema costatum)을 이용한 성장저해시험, (2) 무척추 동물(Brachionus plicatilis, Monocorphium acherusicum), (3) 어류(Cyprinodon variegatus) 및 (4)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한 급·만성 독성시험을 질산의 유출로 인한 (1) pH 변화와 사고 후 질산에서 해리된 (2) 질산염(NO3-) 농도의 변화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HNO3를 이용한 pH 변화에 대한 독성시험 결과, M. acherusicum이 무영향농도(NOEC), 최저관찰영향농도(LOEC) 및 반수영향농도(72h-EC50) 값이 각각 pH 7(0.3mM), pH 5(1.1mM) 및 pH 5.2(1.4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NO3-에 대한 독성시험의 결과, B. plicatilis의 만성독성시험(개체군 성장률시험)결과, NOEC, LOEC 및 96h-EC50 값이 각각 5.9mM, 11.8mM 및 32.6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질산 유출사고로 인한 해양생물의 독성영향은 pH의 경우, 선박의 최단 인접지역을 제외하면 그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며 질산염의 경우, 해양생물의 생존 및 번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농도는 일반적인 사고해역에 현실적으로 존재 할 수 없는 농도로 판단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 해사안전·환경연구센터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